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뉴스터치 오늘은 도심 속 '빈집' 이야기로 시작합니다. <br><br>서울에만 8만 채 넘는 빈집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. <br><br>그런데 방치된 빈집의 안전 문제 심각합니다. <br><br>어제 오후 4시쯤 서울 용산구입니다. 연기와 함께 불길이 치솟습니다. <br><br>불이 난 곳은 4년 동안 방치된 빈집이었습니다. 지붕에 있는 낡은 전선에서 불이 시작된 건데요. 하마터면 인근 주택가로 번질 뻔했습니다. <br><br>빈집에서는 화재나 붕괴 같은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데요, 오늘 직접 현장을 점검해 봤습니다. <br><br>[서상희 기자] <br>"제가 지금 서 있는 곳은 서울 종로구의 사직동입니다. 골목을 따라 걷다 보면 한집 건너 한 집꼴로 사람이 살지 않는 빈집이 방치되어 있습니다." <br><br>재개발이 늦춰지면서 주인들이 버리고 떠나간 빈집들이 흉물스럽게 남아있는데요. 집 안에는 버려진 쓰레기가 가득 차 있고 폐가전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습니다. <br><br>재난 위험시설로 지정된 곳도 있었는데요. 곳곳에 금이 가 있어 집중 호우 땐 붕괴 위험도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빈집은 화재에 취약합니다. 또 낡은 전선들이 뒤엉켜 있고 목재로 된 지붕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불길이 쉽게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화재를 진압하는 것도 어렵습니다. 도로 폭을 직접 재봤는데요. 좁은 곳은 1m도 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불이 날 경우 소방차가 골목 깊숙한 곳까지 들어 올 수 없어 소방 호스를 끌고 올라와야 합니다. <br><br>실제로 2015년에는 충북 충주의 빈집에 불이 나 1명이 숨지고 2명이 크게 다쳤고 2016년에도 빈집 화재로 1명이 숨졌습니다. <br><br>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81만 채였던 전국의 빈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 2050년에는 빈집이 302만 채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<br>빈집은 재개발 같은 정비 사업이 지연되면서 생기는데요, 경찰은 관리 번호를 부여해 방범 활동 등을 통해 관리하고 서울시는 담당 구청이 빈집을 정비할 수 있도록 입법도 예고했습니다. <br><br>빈집이 범죄 장소로도 이용될 수 있는 만큼 도심 속 방치된 빈집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뉴스터치였습니다. <br><br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기상